먼저 관저 입구에는 철조망이 새로 설치됐다. 지난 3일 공수처의 첫 체포 시도 당시 관저로 진입한 공수처 검사와 경찰 등이 대통령경호처가 주축이 된 ‘저지선’을 우회해 옆쪽 산길로 올라간 바 있다. 철조망은 이를 막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관저 앞에는 ‘차벽’도 추가됐다. 관저 정문에 1대를 배치하고, 문 안쪽으로도 버스 3대 이상을 가로·세로로 주차해 강제 진입을 가로막았다. 두터운 방어벽이 세워지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 체포에 한차례 실패한 공조본이 어떻게 2차 영장 집행에 나설지 주목된다.
경찰 안팎에서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경찰특공대 출신인 민관기 전 전국경찰직장협의회 위원장은 7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3박 4일간의 체포 작전을 제안했다.
그는 “1차 저지선 쪽에 형사들이 대치하는 상황이 되면 경찰특공대가 아예 헬기 등으로 3차 저지선 위쪽으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총경 출신인 이지은 더불어민주당 마포갑 지역위원장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관저 내 33군사경찰경호대, 55경비단 등 군과 경찰을 모두 복귀시킨 뒤 경찰특공대와 기동대를 투입하는 작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특수 차량으로 내부 차벽을 제거한 뒤 특공대 장갑차 2∼3대로 나머지 차벽과 철조망을 밀고 기동대 버스가 줄줄이 들어가면 된다”며 “스크럼을 짠 경호관을 뜯어 무전기·무기를 제거하고 기동대 버스에 탑승시켜 각 경찰서 유치장으로 분리 호송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현직 경찰관은 “기동대 대신 형사 위주로 테이저건과 수갑, 삼단봉을 지참하고 방탄조끼 차림으로 투입해야 한다. 차벽은 특수차량 대신 사다리를 갖고 가 넘어야 한다”며 “경호원 1명을 끌어내는데 4∼6명이 필요하다. 최소 경호처 인력의 2배를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부 교수는 체포영장 집행 시도를 뒤로 미루는 방법을 제안했다. 충돌을 감수하면 체포 자체에는 성공할 수 있겠지만, 자칫 여론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교수는 “어차피 핵심은 탄핵 인용”이라며 “헌법재판소에서 결정을 내린 뒤 체포해 수사한다면 경호처는 지금처럼 강력히 저항할 명분까지는 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