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어
보이기
사용 지역 | 세계 각지; 주로 유럽, 아시아 |
---|---|
사용 민족 | 롬인 |
언어 인구 | 480만 명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인도아리아어군 중부 인도아리아어군 롬어 |
언어 부호 | |
ISO 639-2 | rom
|
ISO 639-3 | 다수: rom – Romani (generic)rmn – Balkan Romanirml – Baltic Romanirmc – Carpathian Romanirmf – Kalo Finnish Romanirmo – Sinte Romanirmr – Caló (Spanish Romani)rmy – Vlax Romanirmw – Welsh Romani
|
롬어(Romani)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로 인도에서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유럽으로 이주한 소수 민족인 롬인이 사용하는 언어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유랑하는 민족이 쓰는 만큼 여기저기의 언어들[1]로부터 차용했다. 하지만 거꾸로 다른 언어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2]
문자
[편집]원래부터 표기하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그리스 문자 등이 쓰인다.
정서법
[편집]오랫동안 구어로 쓰였기 때문에 20세기에 들어서야 정서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3] 대체로 롬인들이 사는 곳에서 쓰이는 언어의 정서법을 준용할 때가 많다. (예를 들어 미국 롬어가 영어 정서법을, 루마니아 롬어가 루마니아어 정서법을, 헝가리 롬어가 헝가리어 정서법을 따르는 것처럼)
라틴 문자 기반 정서법
[편집]범 블락스 라틴 문자를 기준으로 한다.
문자소 | 발음 |
---|---|
A a | /a/ |
B b | /b/ |
C c | /ts/ |
Č č | /tʃ/ |
Čh čh | /tʃʰ/ |
D d | /d/ |
Dž dž | /dʒ/ |
E e | /e/ |
F f | /f/ |
G g | /ɡ/ |
H h | /h/ |
Ch ch | /x/ |
I i | /i/ |
J j | /j/ |
K k | /k/ |
Kh kh | /kʰ/ |
L l | /l/ |
M m | /m/ |
N n | /n/ |
O o | /o/ |
P p | /p/ |
Ph ph | /pʰ/ |
R r | /r/ |
S s | /s/ |
Š š | /ʃ/ |
T t | /t/ |
Th th | /tʰ/ |
U u | /u/ |
V v | /v/ |
Z z | /z/ |
Ž ž | /ʒ/ |
다른 라틴 문자 기반 정서법과의 비교
[편집]- 미국 롬어에서 c, č, š, ž, ch, j는 ts, ch, sh, zh, x, y로 갈음해서 쓴다.
- 마케도니아 공교육 표기법에서는 무성 경구개 파열음(/c/)를 ć로, 유성 경구개 파열음(/ɟ/)을 gj로,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을 ź로, 경구개 비음(/ɲ/)을 nj로, 경구개 설측 접근음(/ʎ/)을 lj로 적는다.
- 핀란드 롬어에서는 무성 후치경 파찰음(/tʃ/)를 tš로, 무성 연구개 마찰음(/x/)을 ȟ로, 전설 원순 고모음(/y/)을 y로, 전설 원순 중고모음(/ø/)을 ö로 적는다.
키릴 문자 기반 정서법
[편집]А а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х кх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Пх пх | Р р | Рр рр | С с | Т т |
Тх тх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Ғ ғ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음운
[편집]범 블락스 라틴 문자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 ] 안은 일부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홀소리
[편집]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ɨ] | u |
중모음 | e | [ə] | o |
저모음 | a |
닿소리
[편집]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
파열음 | 무성음 | p | t | k | ||||
유성음 | b | d | g(/ɡ/) | |||||
유기음 | ph(/pʰ/) | th(/tʰ/) | kh(/kʰ/) | |||||
파찰음 | 무성음 | c(/ts/) | č(/tʃ/) | |||||
유성음 | dž(/dʒ/) | |||||||
유기음 | čh(/tʃʰ/)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š(/ʃ/) | ch(/x/) | h | ||
유성음 | v | z | [ž(/ʒ/)] | |||||
유음 | 설측음 | l | ||||||
R음 | r | |||||||
반모음 | j |
역사
[편집]롬어가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1542년 서유럽에서다.[4] 롬어의 초기 실태를 알 수 있는 확실한 고문헌은 없고 대신 비교언어학상 증거로 추정해 볼 수 있다.[4]
관련 논문
[편집]- 엄태현, 〈집시민족의 발칸반도로의 이주 양상과 그것의 언어적 영향 : 루마니아어의 은어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학》 6-2,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년
각주
[편집]- ↑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쿠르드어, 오세트어, 아르메니아어, 조지아어, 그리스어, 불가리아어, 체코어, 체첸어,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튀르키예어, 루마니아어, 독일어, 알레만어 등
- ↑ 스페인어, 루마니아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관련 연구를 보면 롬어가 이들의 언어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다. Fundación Secretariado Gitano(2010), 《Guía práctica para periodistas. Igualdad de trato, medios de comunicación y comunidad gitana》, 71면 및 엄태현, 〈집시민족의 발칸반도로의 이주 양상과 그것의 언어적 영향 : 루마니아어의 은어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학》 6-2,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년 참조.
- ↑ 예를 들면 슬로바키아 롬어의 정서법은 1971년에서야 문서로 만들어졌다.
- ↑ 가 나 Matras(2006), 롬어의 역사(History)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