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서를 위장하여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LNK

고지서를 위장하여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LNK

AhnLab SEcurity intelligence Center(ASEC)에서는 최근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는 악성 LNK 파일이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정황을 확인하였다. 해당 유형은 가상자산 관련 데이터, 브라우저 데이터, 공인인증서, 이메일 파일 등 공격자에게 가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키로깅도 수행한다. 확인된 악성 LNK 파일은 다음과 같이 고지서를 위장한 파일명을 가지고 있다.   지방세입

2025년 3월 국내외 금융권 관련 보안 이슈

2025년 3월 국내외 금융권 관련 보안 이슈

본 보고서는 국내외 금융권 기업들을 대상으로 발생한 실제 사이버 위협과 관련 보안 이슈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금융권을 대상으로 유포된 악성코드와 피싱 케이스에 대한 분석 내용이 포함되며, 금융권을 겨냥한 주요 악성코드 Top 10을 제시했고, 텔레그램으로 유출된 국내 계정의 산업군 통계도 제공했다. 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피싱 이메일 유포 사례도 상세히 다루었다. 또한

대형 운송사의 운송장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Remcos RAT 악성코드

대형 운송사의 운송장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Remcos RAT 악성코드

최근 AhnLab SEcurity intelligence Center(ASEC)에서는 대형 운송사의 운송장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Remcos 악성코드를 발견하였다. 해당 블로그에서는 html, javascript, autoit script 로 이어져 최종 Remcos 악성코드 실행까지의 유포 흐름을 설명한다.   하기 [그림 1]은 유포되는 메일의 원본으로 내부에 html 스크립트가 첨부되어 있다. 해당 html 파일은 실행하여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 2]와 같이 “747031500

2025년 2월 국내외 금융권 관련 보안 이슈

2025년 2월 국내외 금융권 관련 보안 이슈

본 보고서는 국내외 금융권 기업들을 대상으로 발생한 실제 사이버 위협과 관련 보안 이슈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금융권을 대상으로 유포된 악성코드와 피싱 케이스에 대한 분석 내용이 포함되며, 금융권을 겨냥한 주요 악성코드 Top 10을 제시했고, 텔레그램으로 유출된 국내 계정의 산업군 통계도 제공했다. 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피싱 이메일 유포 사례도 상세히 다루었다. 또한